Unreal/Unreal_Niagara 4

나이아가라 캐시이슈(출력 이슈 시 오토 컴파일러를 믿지 말 것)

위 영상은 Ammo_Icon을 만들었는데 정상 출력이 안되는 상황이다.그런데 Ammo_Icon을 복제해 Ammo_Icon1을 생성하니 둘다 정상작동하는 모습이다.하지만 Ammo_Icon을 다시 혼자두니 정상작동이 안되고 이름을 변경 시에 되는 모습이다. 왜 이런 문제가 나왔으며 해결법은 무엇인가? 해결법은 간단하다 처음부터 다시 컴파일을 하는 것이다.평시에는 오토 컴파일을해서 빠르게 새로 만든 것만 컴파일을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새로 만든 것만이다.복제 시에는 새로 만든 개념과는 좀 멀어서 그런지 제대로 컴파일을 하지않고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인터프리터처럼 동작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모든 작업내용을 다시 컴파일해서 인식시키는 과정을 하는 것이다.  Ammo_Icon을 만들 때 왼쪽..

Unreal하면서 모르거나 궁금한건 어디서 찾아야할까?

바로 포럼가서 문의 넣는게 제일 빠르다.나이아가라 관련 문의는 Unreal Forum - Development - Asset Creation - FX로 들어가야지 나이아가라 관련 문의하기 쉽다.https://forums.unrealengine.com/tags/c/129/unreal-engine 처음에 그림과 같이 글을 쓰게 되면 시스템측에서 커뮤니티관련 규칙이라던지 안내같은걸 읽으라고 말해주고보통 20~30분정도 지나면 쓴 글을 올리게 허용해준다.나는 기다리면서 프로필에 이것저것 내용을 기입하는 시간을 가졌다.  시간 지나면 고수들이 도와주겠지

Unreal Niagara Sword Trail

Tip)2&3번에서 2번은 index 0번, 3번은 index 1번이다. 4번에서 Vec3으로 변수를 생성해서 subtract velocity를 넣지 않고, subtract position을 넣어야 정상 작동함.인텔리전스로 2개다 나오는데 velocity가 먼저 마킹되어서 한번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subtract을 하는 이유는 두 점의 좌표인 A와 B에서 A-B를 할 경우,  B->A로 향하는 벡터를 얻을 수 있음 5번에서 리본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로 폭를 가지는 오브젝트이기에두 소켓의 좌표의 거리가 리본의 폭의 길이로 잡았다. 그래서 리본의 좌표는 두 소켓의 사이의 중심점이 된다.Lerp는 두 지점에서 그 사이의 값을 0~1로 표현하는 방식이기에,0.5를 넣어서 두 점의 사이의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