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엔비디아의 5000번대 시리즈 발표로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다.
그래서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공부해서 이해한 것들을 여기에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지나가다가 이 글이 보게된 분들 중에 잘못된 내용이나 첨언할 내용들을 댓글에 달아주시면 감사합니다.
이 이야기의 핵심은 DLSS이다. Deep Learning Super Sampling라고 말하는 기술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딥_러닝_슈퍼_샘플링#
원본으로 렌더링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비슷한 그림을 복제해서 만드는 개념으로 이해를 했다.
그래서 실제로는 24프레임으로 만든 영상이 60프레임으로 늘어나는 식이 가능하다는게 이 기술의 핵심 개념이다.
다만 반응성이 중요시하는 쪽에서는 입력값과 출력값에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데,
원본 프레임과 늘어난 프레임의 격차가 클 수록 괴리가 생긴다는 사용했던 유저들의 평들을 보았다.
게임쪽에서 반응성을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리듬게임, 대전 격투, FPS 등에는 사용하기 어려워 보인다.
"반응성을 조금과 어느 정도의 왜곡을 타협을 하면 고프레임으로 렌더링을 하는데 컴퓨터의 자원이 덜 들어갈 수 있다."
이 사실은 꽤 흥미로웠다. 게임쪽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 즉 렌더링을 하는 분야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내가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엔비디아 공식사이트에서 관련 문서들을 확인을 해보았다. 역시나 렌더링 관련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꽤 있었다.
https://www.nvidia.com/en-us/geforce/news/nvidia-rtx-games-engines-apps/
NVIDIA DLSS & GeForce RTX: List Of All Games, Engines And Applications Featuring GeForce RTX-Powered Technology And Features
See which games, engines and applications support NVIDIA DLSS 2, NVIDIA DLSS 3, NVIDIA DLSS 3.5, Ray Tracing, Frame Generation, Ray Reconstruction, and AI technologies and features when you have a GeForce RTX graphics card, GPU, or laptop.
www.nvidia.com
내가 당장 쓰는 프로그램들은 유니티, 언리얼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에는 렌더링해서 영상을 찍는 기능도 있는데 그 기능에는 dlss기능이 들어가 있는지 까지는 아직은 모르겠다.
보통은 실시간으로 렌더링하는 쪽에서 사용하는 기술이기에 아마도 적용이 안되었을 것 같다. 영상 렌더링에서는 퀄리티가 우선이라서 dlss로 빠르게 뽑는 일을 잘안할 것 같지만, 속도를 우선으로 작업을 하고싶을 때 쓸 수 있는 렌더러가 있을까해서 찾게 되었다.
이부분은 더 파고들어야할 것 같지만 일단 지금 주목하고 싶은 것은 AutoDesk Arnold이다.
Arnold는 렌더링 프로그램인데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은 Autodesk Maya, Autodesk 3ds Max, Houdini, Cinema 4D, Katana, Softimage를 지원하는 사실을 2019년도에 엔비디아 블로그에 적혀있었다.
https://blogs.nvidia.co.kr/blog/autodesk/
오토데스크 디자인 소프트웨어 엔비디아 RTX 기반 GPU로 더욱 강력해졌다 | NVIDIA Blog
엔비디아 RTX GPU가 탑재된 Autodesk 렌더러 "Anold 6"의 흥미로운 기능들은?
blogs.nvidia.co.kr
좀 옛날 글이여서 지금은 블렌더 같은 곳에서도 Arnold를 넣어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게 구글링을 하면서 알게 되었다.
게임 이펙트에서 불이나 연기를 만들고, 그것을 2d이미지 시퀀스로 저장해서 게임으로 가져갈 때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속도가 더 빠르게 가능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dlss 버전이다. 다음 글을 읽어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Arnold가 dlss3을 지원하지만 dlss2는 지원하지 않는게 중요한 사실이다. 즉 자기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는 dlss 버전을 꼭 확인을해서 맞추어서 가야한다는 점이 머리가 아픈 사실이다.
'Houdin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곤이 너무 작거나 생성할 수 없을 때의 문제점 (0) | 2025.01.14 |
---|---|
HeightMap_NormalMap (0) | 202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