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나이아가라와 머티리얼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Dynamic Parameter, Particle Color, Parameter, MPC, NPC 등 다양하다.
아래는 표로 간략히 해봤다.
방식 | 간략한 설명 및 특징 |
Parameter | 가장 무난한 방식이다. 형식은 4가지가 존재한다.
|
Particle Color | 나이아가라에서 Color제어하는 노드로 따로 뚫어둔 방식이다. 기본값은 (1,1,1,1)이니 참고해두자. |
MPC Material Parameter Collection |
이건 외부에서 따로 제어하는 부를 만든 개념이다. 그래서 머티리얼에 하나씩 접근해서 변수를 제어하는 불편한 방식이 아니라 Manager 역할을 하는 MPC의 변수값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인 게임에서만 제어가 가능하고, 시퀀스쪽에서는 제어가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다. |
NPC Niagara Parameter Collection |
MPC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대상이 나이아가라로 바뀌었을 뿐이다. |
Dynamic Parameter | 이 값은 변형이 좀 쉬운 개념이다. 일반적인 Parameter들은 한번 정해두면 블루프린트 같은거로 추가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이상 값을 바꾸기에는 불편한점이 많다. Particle와 Dynamic은 나이아가라 모듈들의 여러 기능들을 활용해서 제어하기 쉬운편이다. 보통은 이징함수(그래프)로 값에 키프레임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서 시간에 따른 값으로 제어하는 편이다. |
Emitter안 Renderer의 Binding영역에서 Material Parameters로 제어가 가능하다.
Attribute Bindings는 나이아가라에서 유저가 만들거나 나이아가라 시스템에서 기본 제공하는 Parameter에서 같은 형식만 넣을 수 있다.
이렇게 에미터마다 다른 값을 따로 부여가 가능해서 하나의 머티리얼로 여러 형태 변형이 가능한게 큰 장점이다.
'Unreal > Unreal_Mate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프로세싱 픽셀레이션 및 색상변경 (0) | 2025.03.25 |
---|---|
머티리얼 최적화에 대해서 (0) | 2025.02.12 |
Curve Atlas에 관해서 (1) | 2025.01.05 |
SubUV_Function 사용법 (1) | 2024.11.29 |
진폭 그래프 (0) | 2024.11.09 |